베델한인교회
2015.07.25
제가 잊지 못할 성도 한 분이 계십니다. 그 분은 정말 방탕한 생활을 하시다가 백혈병을 얻고 투병중에 거듭나 신앙생활하시는 분이었습니다. 늘 주일예배마다 감격하시며 눈물을 흘리시기가 다반사였습니다. 그 분은 스스로 자기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라 했습니다. 그리고 가장 감사한 것은 매일 아침 일어날 때마다 자신이 하나님으로부터 용서받은 죄인이라는 것을 상기할 때라 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최고로 감사한 것은 어쩌면 극적인 병고침이라 할 수 있고, 또는 위기적 상황에서 건져주신 일들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성도님은 ‘용서받음’이었습니다. 저같이 모태신앙인들에게는 어쩜 특별히 드라마틱한 간증이 없을지 모릅니다. 도덕적으로도 그리 흠없이 살면서 교회생활을 해왔기에 ‘용서’라는 의미가 그리 크게, 적어도 자신이 매일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으로 느끼게 해주는 제목은 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그 분의 말씀은 진리였습니다. 우리가 ‘용서받은 죄인’이라는 것이 오늘을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동기부여를 줍니다. 하는 일이 무엇이든지 감사하는 마음으로 할 수 있게 합니다. 신앙생활하며 자신의 죄악의 깊이를 점점 깨닫게 되면서 ‘용서받았다’는 사실이 나를 얼마나 강력하게 죄악의 늪에서 끌어올리는지 모릅니다.
지난 주말(7월 18일)에 미국 공화당 텃밭이라 불리는 아이오와주 에임스에서 “패밀리 리더십 서밋(Family Leadership Summit)” 포럼이 열렸습니다. 당연히 공화당 대선후보 희망자들은 이 포럼에 참여하여 종교적 보수진영으로부터 지지를 얻어내야 합니다. 당연히 수많은 종교적 보수진영들이 자리를 하고 있었습니다. 후보 희망자들이 얼마나 보수적이며 종교적인 가치를 공유하고 있는지 알고 싶어하는 관중들의 심리를 잘 알고 있는 사회자 프랭크 룬츠(Frank Luntz)는 이때, 한국에 대해 “미쳤다”라고 하며 막말을 쏟아낸 것으로 화제가 되었던 대선 후보 희망자 도날드 트럼프(Donald Trump)씨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습니다. “당신은 하나님께 용서를 구해본 적이 있나요?” 농담같은 질문에 많은 관객들의 웃음을 터뜨렸지만 공화당 후보로서 신중하게 답해야할 질문이었습니다. 트럼프씨는 이렇게 답을 했습니다. “내가 용서를 구할 만한 일을 저질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하던 일을 더 잘 하기 위해서 계속 노력할 것입니다. 만약 제가 실수를 저질렀다면 저는 바로 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지, 하나님을 이 문제에 끌어들이지 않을 것입니다.”
왜 트럼프씨를 보면 ‘자신감’은 있어 보이지만, ‘겸손함’은 전혀 느낄 수 없었는데, 그 이유를 안 것 같습니다. 자신이 하나님 앞에 용서받아야할 죄인인줄도 모르는 사람이 성경에 손을 얻고 대통령 선서를 해야하는 자리에는 아마 설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매일 매일 하나님의 용서를 확인하며 사는 것이 가장 행복한 길이며, 이 세상에서 무엇을 하든지 가장 능력있게 사는 비결이라고 믿습니다.
“Forgiveness”Rev. Bryan H. Kim
There is a church member I cannot forget. He used to live a wild life until he became sick with leukemia. While battling cancer, he became a born-again Christian. At almost every worship service he would be overcome with emotions and shed tears. He would say he is the happiest person in the world. As he would wake up every morning, he was most grateful that he was a sinner forgiven by God. Typically we are most grateful for a powerful healing from terminal illness or deliverance from crisis moments. But for this man, it was ‘forgiveness.’ People who were born into a Christian family like me don’t have especially dramatic testimonies. If you lived morally upright and attended church diligently, the meaning of ‘forgiveness’ may not make you feel like the happiest person in the world. Yet the more I think about it, what he said was true. The fact that we are ‘forgiven sinners’ becomes motivation to live today well. We can be grateful no matter what we do. The more we grow spiritually, the more we realize the depth of our sinfulness. But the fact of ‘forgiveness’ forcefully lifts us up from the deep mire of sin.
Last weekend (July 18th) many Republican presidential hopefuls traveled to the Family Leadership Summit in Ames, Iowa: social conservatives are a dominant force in Iowa Republican politics, and this forum caters specifically to religious right activists. With this in mind, moderator Frank Luntz asked Donald Trump on Saturday, “Have you ever asked God for forgiveness?” The question elicited some laughter from the audience, though the Republican candidate seemed to take the matter seriously.
“I’m not sure I have,” Trump said. “I just go on and try to do a better job from there. I don’t think so. I think if I do something wrong, I think, I just try and make it right. I don’t bring God into that picture. I don’t.”
Mr. Trump seems to have ‘confidence,’ but not ‘humility. I now know why. I don’t think a person who doesn’t even realize he is a sinner in need of God’s forgiveness can ever stand and put his hand on the Bible to be sworn in as the President. To be assured of God’s forgiveness daily is the secret to happiness and a life of power no matter what we face in this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