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유 (김한요목사)

베델한인교회
 
 
2015.06.27
세월호 사건이 터졌을 때, 노시인 고은의 시구(詩句) “미안하다 나 같은 것이 살아서 국밥을 사 먹는다”가 가장 많이 SNS에서 회자되었다고 합니다. 사랑하는 가족을 떠나보낸 이의 마음이 고스란히 묻어 있는 글입니다. “너 없으면 못 살아.” 했는데 너 없어도 꾸역꾸역 밥이 입으로 들어가는 내 모습이 미안한 것입니다. 산 사람은 살아야 한다지만, 그 말도 미안한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사람이 있을 때는 몰라도 없어 봐야 그 빈자리가 보인다고 하듯이 일하다가 돌아서면 생각나는 가족은 어쩔 수 없나 봅니다.
저는 매년 이맘때면 지난 20여 년 섬기고 있는 중국의 지하신학교 졸업식에 가게 됩니다. 올해에는 필리핀 두마게티 지역에서 사역요청을 받아 그 곳에 먼저 들어가 사역한 후, 바로 중국으로 가게 됩니다. 중국에 갈 때마다 기억나는 것은 10년 전 순교하신 안디옥(가명) 선교사님이십니다. 중국이 열리기 전부터 한국 모 신학교 기도실에 중국지도를 펴놓고 기도하셨다는 선교사님은 미국에 이민 오셔서 신학대학원에 다니실 때도 중국을 위한 기도회를 만들어 중국을 위한 선교의 길을 준비하셨습니다. 제가 선교사님과 만나서 이 사역을 하게 된 것도 이 기도회 때문이었습니다. 제가 어렸을 때 화교학교를 2년간 다녔다는 이유로 “중국선교를 위해 준비된 사람이야.” 하며 기도회에 끌려(?)간 것입니다. 그 이후 중국은 선교사 신분으로 들어 갈 수 없다 하시며, 대학에서 다시 언어학을 전공하여 영어교사 자격증을 따서 중국의 모 대학 영어교수 자리를 응모해서 중국 침투해 성공하십니다. 선교사님 가정을 드디어 중국으로 파송하던 예배를 잊을 수 없습니다. 중국을 위해서 이처럼 기도하고 이처럼 준비된 일꾼을 본 적이 없습니다. 최고의 병기로 하나님이 중국의 만리장성 같은 벽을 허물고 건강한 복음이 물밀듯 들어가기 위해 준비해 놓으신 분이었습니다.
이렇게 기념비적 중국 사역을 펼쳐가시던 선교사님은 의문의 교통사고로 소천하셨습니다. 저는 그 소식을 다른 교회 집회를 마치고 귀가하는 비행기에 올라 좌석을 찾아 앉자마자 전화로 받았습니다. 너무 놀라 다리에 힘이 죽 빠지고, 마음이 먹먹해졌던 그 순간 “하나님 저 같은 놈을 데려가시지, 왜 하나님 나라의 최고의 병기를 데려가십니까?” 하며 하염없이 나오는 눈물을 주체 못하며 기도했었습니다. 그 이후 지금까지 포기하지 않고 중국선교회를 계속 섬겨오고 있지만, 갈 때마다 고은 시인의 글귀가 자꾸 눈에 밟힙니다. “죄송합니다. 나 같은 것은 아직 살아서 …” 선교사님의 죽음의 가격으로 세워진 선교회인데, 그 값을 살아드리는 섬김을 하기 위해 몸부림치러 올해도 또 갑니다. 선교사님의 아내이신 사모님 옆에 서면 하염 없이 작아지는 내 모습이지만, 아직 살아있기에 중국 교회와 형제자매들이 보고 싶어서 또 갑니다. 우리 모두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대신 사는 자들인데… 그 가격을 모르면, “죄송합니다. 나 같은 것이 아직 살아서…” 회 개하며 섬김의 국밥을 꾸역꾸역이라도 먹고 사십시다.
“The Reason for Living”Rev. Bryan H. Kim
After the Sewol Ferry tragedy, venerated poet Ko Un wrote, “I am sorry that someone like me go on to live and eat.” It was most repeated on SNS. It captures well the sense of loss by the family who lost their loved ones. They had cried, “I cannot live without you.” Yet without their loved ones, families continued to eat and live, feeling guilty. Though the living must live on, there is a lingering sense of guilt. The empty space cannot be felt until the loved one is gone. How difficult it must be for the family members!
Every year around this time for the past 20 years, I’ve been attending underground church seminary graduation in China. I will be stopping by Dumaguete, Philippines first for ministry, then I will head into China. Every time I go to China, I remember Missionary Antioch (assumed name) who was martyred 10 years ago. Even before China was open, he prayed in a Korean seminary prayer room with the map of China open. When he came to the U.S. and attended seminary, he organized a prayer group to pray for China and prepared for mission. I came to know him through this prayer meeting. I had attended school for overseas Chinese for 2 years when I was young. “You were meant for mission work in China,” he said, as he would drag(?) me to the prayer meeting. Because he could not officially enter China as a missionary, he earned his English teacher certificate at a college. He successfully entered China as English teacher at a university. I still cannot forget the commissioning service for his family. I’ve never seen any other worker who prayed so much for China and was so prepared for China. He was God’s ultimate weapon prepared to break down a wall of resistance like the Great Wall of China for the Gospel.
While engaged in monumental mission work in China, he passed away in a questionable auto accident. I received the sad news on the phone as I sat on my seat on an airplane after leading a revival meeting. I was so surprised, and the news made me go weak at the knees. “Why doesn’t God take someone like me instead? Why does God take such a great missionary?” I prayed with tears streaming down my face. Afterwards, I have continually supported China missions. Yet every time I go to China, I am reminded of poet Ko Un’s words, “I am sorry that someone like me go on to live…” This mission society was built at the cost of the missionary’s life. I am going again because I owe the debt to live and serve. I feel so small standing next to his wife, who courageously continues the mission work. I miss the brothers and sisters of the Chinese underground church. We all live because of Jesus Christ’s substitutionary death. If we don’t realize that cost, then we must repent, “I am sorry that someone like me go on to live…” So let us eat and live to serve Christ.
http://bkc.org/wp/blog/150628_column/